[CEO풍향계] '과학기업' 신학철…'묵묵부답' 김범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, 기업 CEO들의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의 이야기를 김종력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9년부터 LG화학을 이끌고 있는 신학철 부회장.<br /><br />LG화학을 글로벌 과학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비전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 부회장은 최근 발간된 사내 보고서에서 "전통적 화학기업에서 지속가능성이 준비된 과학기업으로 나아갈 것"이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3대 성장동력으로 꼽고 있는 전지소재, 친환경소재, 글로벌 혁신 신약에 2025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죠.<br /><br />특히 양극재, 분리막 등 전지소재사업 매출을 작년 1조7,000억원에서 2030년 21조원으로 12배 이상 늘린다는 목표인데요.<br /><br />세계 최고 종합 전지재료 회사가 신 부회장의 지향점입니다.<br /><br />신 부회장은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취임 후 처음 영입한 인사입니다.<br /><br />당시 LG화학의 첫 외부출신 전문경영인인데다 화학 비전공자란 점에서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엇갈렸죠.<br /><br />하지만 3M 한국지사에 평사원으로 입사해 미국 본사 수석 부회장까지 오르는 신화를 썼던 신 부회장은 우려를 씻어내고 올해 재임에 성공해 회사의 더 큰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가 최근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일부 매각을 공식화 하며 내분에 휩싸였는데요.<br /><br />정작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은 침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모빌리티는 가입자 3,100만명의 국내 1위 모빌리티 기업이죠.<br /><br />지난해엔 재작년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매출 5,464억원을 기록하는 등 계속 성장중인데요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카카오가 국내 사모펀드에 지분 10% 가량을 팔고 2대 주주로 물러앉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죠.<br /><br />업계에선 기업공개 시장이 얼어붙자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를 위해 카카오가 지분매각을 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카카오노조와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등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모빌리티가 5년간 매년 100억원을 상생에 쓰겠다고 했는데, 사모펀드가 최대주주가 되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고용 불안 우려도 문제로 꼽았죠.<br /><br />노조는 서명, 피켓 시위에 사옥 앞 집회도 계획중인데요. 논란이 계속 커지고 있어 김범수 센터장이 나설 필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증시가 혹한기에 들어갔죠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, 상장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K뱅크가 지난달 30일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승인과 청약을 거쳐 11월쯤 코스피에 상장될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최근 얼어붙은 시황을 고려하면 K뱅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앞서 현대엔지니어링·SK쉴더스·원스토어가 공모일정을 연기하거나 철회해 공모주에 대한 관심도 높지 않죠.<br /><br />하지만 서 행장은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 배경은 바로 성과인데요.<br /><br />지난해 225억원 순익을 냈던 K뱅크, 올해도 1분기에만 이미 지난해 연간보다 많은 순익 245억원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재작년 말 219만명이던 고객수도 지금 783만명으로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시장에서는 K뱅크의 가치를 7조원~8조원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. 횡령,배임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됐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아워홈은 자체 감사를 벌여 지난해 11월 구 전 부회장을 경찰에 고소했죠.<br /><br />구 전 부회장이 월급과 성과급을 정해진 한도보다 많이 받은 정황을 발견한 겁니다.<br /><br />조사를 마친 경찰은 최근 구 전 부회장을 횡령·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넘겼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은 경찰 조사를 토대로 추가 조사를 한 뒤 기소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죠.<br /><br />구 전 부회장은 상품권을 산 뒤 임의로 현금화하는 등 7억원을 횡령하고, 회삿돈으로 산 골프장 회원권을 사유화하는 등 배임액이 약 5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구 전 회장은 지난달 30일 임시주총에서 아워홈 이사 교체를 시도했다가 무산됐죠.<br /><br />경영권 분쟁에서 동생 구지은 현 대표에게 밀려난 구 전 부회장.<br /><br />이제 형사처벌도 염두에 둬야하는 상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기업에 대한 과도한 경제형벌을 행정제재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자유로운 경영활동과 기업의 투자, 일자리 창출 확대를 위해서죠.<br /><br />하지만 의도와 달리, 경제범죄와 재벌의 사익편취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분명히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#LG화학 #카카오 #K뱅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